반응형
SMALL

전체 글 564

설악초(유포르비아 Euphorbia marginata Pursh), 여름에 볼 수 있는 하얀 눈 같은 꽃

설악초(Euphorbia marginata Pursh) 설악초를 처음 봤을땐 잎이 꽃인줄 알았습니다 가까이서 보니까 작고 앙증맞은 하얀색 꽃이 따로 있네요 유투브 https://youtu.be/rVbWKipbW0I?si=X7NCrnVNLjIKlPND 설악초의 잎은 눈이 쌓인 것처럼 하얗습니다. 원산지는 미국 중부의 평원이라고 하네요 그래서 영어로는 ‘Snow on the Mountain’라고 불리는가 봅니다. 설악초의 다른 이름은 유포르비아, 설화초 설악화, 설화, 빙화, 야광초, 월광초, 등으로 불리고있습니다. 설악초의 잎은 줄기 아랫쪽은 녹색, 줄기 윗쪽의 잎은 흰색 테두리가 있어 위에서 봤을때 하얗게 꽃처럼 보입니다 설악초의 꽃은 7~10월사이에 하얀색으로 피고 , 나뭇잎 테두리도 하얗기 때문에 잘..

<하버드 감정수업> 1-2. 감정의 폭발은 예방이 가능하다

하버드 감정수업 CHAPTER 1 하버드가 제시하는 감정의 8가지 원칙 1-2. 감정의 폭발은 예방이 가능하다 (P 20) 미국의 심리하자이자 철학자인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개인의 건강은 반드시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상과 현실이 부합하고, 안정감을 충분히 느끼며, 인간관계에서 즐거움을 얻어야 비로소 건강하다고 할 수 있다고 했다. 또한 세계 보건기구는 '건강'이란 단순히 질병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히 안정된 상태라고 정의했다. 다시 말해 감정이 개인의 심신 건강을 판가름하는 중요한 기준이라는 의미다. 만약 부정적 감정에 휩싸여 감정 폭발의 상태까지 치닫는다면 당신의 심신 건강을 장담하기 어렵다. 현대 심리학은 인간의 기본 감정을 기쁨, 관심, 놀..

책을 읽자 2023.08.29

모과나무

모과나무 모과나무는 장미과 나무이고 활엽수이며 모과라는 향기나는 열매를 맺는다. 잘 익은 열매가 마치 참외같아 목과(木瓜)라고 불리었다가 모과로 바뀌었다. 30M까지 자란다. 원산지는 중국. 처음에는 농가에서 키웠지만, 지금은 경기도 이남 지역을 다니다 보면 많이 보인다. 또한 관상수로도 많이 기르며, 나무에서 열리는 열매인 모과는 약재로 쓰이거나 차로 쓰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재배하고 있다. 모과나무는 초보자들이 쉽게 구분이 가능한데, 잎이 뾰족뾰족한 톱니바퀴로 되어 있어 쉽게 알 수 있다. 보통 첫 꽃이 달리는 해는 5년, 열매가 달리는 해는 7년 정도라고 한다. 수확기는 10말~11월 중순. 내한성이 약해 중부와 남부에서만 기를 수 있다. 추운 곳에서도 못 기르는 것은 아니지만, 꽃이 나오지 않..

1-3. 지나친 감정화는 극한의 상황을 야기한다

하버드 감정수업 CHAPTER 1 하버드가 제시하는 감정의 8가지 원칙 1-3. 지나친 감정화는 극한의 상황을 야기한다 (P 24) 하버드 대학이 심장질환자 1,6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피조사자 중 상당수가 매우 심한 정도의 초조와 우울감에 시달리고 있었다. 이러한 감정 과다 탓에 그들의 심장은 일반인보다 더 쇠약해졌고, 이에 따른 감정의 악순환이 계속되었다. 그들은 결국 감정 과다가 불러오는 또 다른 부정적 감정을 감당하지 못하고 감정의 노예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른바 '감정화'란 어떤 일 혹은 사람으로부터 영향을 받고, 그 결과인 '과도한 희로애락'에 근거해 행동하는 걸 의미한다. 주로 쉽게 흥분하거나 화를 내는 형태로 드러나며 행위의 결과를 생각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쉽게 말해, 충동..

책을 읽자 2023.08.28

<하버드 감정수업> 1-4. 긍정적 사고로 감정을 제어할 수 있다

하버드 감정수업 CHAPTER 1 하버드가 제시하는 감정의 8가지 원칙 1-4. 긍정적 사고로 감정을 제어할 수 있다 (P 30) 감정 조절이 안 되는 사람이 개인 생활이나 인간관계를 잘 해내는 경우는 없다. 단언컨대 자신의 감정을 컨트롤할 줄 알아야 제대로 살 수 있는 법이다. 감정 조절이나 자제력 따위는 별거 아니라며 무시하고 외면하는 사람은 더 나은 삶을 바라기보다 그때그때 닥치는 대로 사는 것일 뿐이다. 이들은 삶 곳곳에 숨어 있는 성공의 기회를 허무하게 날려 버리면서도 그런 일이 있었는지조차 모른다. 작가 오 헨리가 친구와 함께 가게에서 간식거리를 샀다. 계산을 마친 오 헨리는 "감사합니다."라고 말했지만 점원은 뚱한 표정으로 끝까지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 가게를 나서자마자 친구가 점원을 험담했..

책을 읽자 2023.08.25

2023년 8월 24일.... 핵 오염수 해양투기는 재앙의 시작!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길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https://twitter.com/wpdlatm10/status/1695799275387597168?t=8CVdIfNTTg_6ljBg3-PKUA&s=09 2023년 8월 24일 오후 1시 일본은 핵오염수를 바다에 버리기 시작 했다. 인류 미래세대는 아마, 2023년 8월 24일 이 날을 인류 종말의 시작으로 기억하지 않을까? 난 과학자도 아니고 과학 열등생이지만 생각은 한다. 우린 아마 이날 2023년 8월 24일을 영원히 기억 할 듯 하다. 핵 오염수 해양 무단 투기 바닷물과 관련 된 것을 안 먹고 살 수 있다면 좋겠지만 안 먹고 섭취 안하고 살 수 없지 않은가~? 소금, 회도 생선도 처음에 인간은 섭취를 망설일테고 섭취를 줄이겠지만 어느순간 자포자..

들꽃 - 강아지풀(꼬리풀, 자주강아지풀, 제주개피)

강아지풀 강아지풀(학명: Setaria viridis, 영어: green bristlegrass, green foxtail 또는 wild foxtail millet)은 벼과 강아지풀속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다. 이삭이 강아지 꼬리를 닮아서 강아지풀이라고 부르며, 꼬리풀, 자주강아지풀, 제주개피라고도 한다. 한자로는 구미초(狗尾草)라고 한다. 모습 줄기는 가는 가지로 나뉘는데, 높이는 20~80cm 정도이다. 잎은 피침형으로 길이는 5~20cm, 폭은 5~20mm 정도 된다. 꽃은 초록색으로 강아지 꼬리 모양을 하고 있는데, 7~10월경이 되면 가지 끝에 이삭꽃차례를 이루면서 달린다. 이 때, 꽃차례에는 2~6mm의 센 털이 나 있다. 한편 작은이삭은 2개의 작은 꽃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위쪽에 있는..

<하버드 감정수업> 1-5. 감정은 일과 주위에 영향을 끼친다

하버드 감정수업 CHAPTER 1 하버드가 제시하는 감정의 8가지 원칙 1-5. 감정은 일과 주위에 영향을 끼친다 (P 35) 감정이 마치 강력한 바이러스처럼 사방으로 퍼져 나간다는 느낌을 받은 적 있는가? 감정은 그 사람의 자세, 말, 표정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전달한다. 그 과정에서 자기도 모르게 타인에게 감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심리학에서는 이들 '감정의 전염'이라고 한다. 어느 회사의 사장이 아침에 잠에서 깨어나 늦잠을 잔 걸 깨닫고 깜짝 놀랐다. 그는 급히 차를 몰고 회사로 가면서 몇 차례 신호를 위반하다가 결국 교통경찰에게 적발되어 범칙금이 부과되었다. 안 그래도 늦었는데 길에서 시간을 다 보내는 바람에 지각은 확실해졌다. 사무실에 들어가 자리에 앉는 순간, 사장은 간신히 꾹 누르고 있던 화..

책을 읽자 2023.08.24

<하버드 감정수업> 1-6. 감정 변화에는 사이클이 존재한다

하버드 감정수업 CHAPTER 1 하버드가 제시하는 감정의 8가지 원칙 1-6. 감정 변화에는 사이클이 존재한다 (P 40) 나이가 어릴 때는 자기감정을 대하는 일이 참 어렵다. 왜 아무 이유도 없이 기분이 나빠지지? 왜 무슨 일을 해도 신이 나지 않을까? 이런 생각이 꽤 오랫동안 계속되는데 종잡을 수 없는 자기감정에 지칠 때,사계절이 바뀌는 것처럼 인간의 감정 역시 '주기적으로' 변화한다는 걸 알면 휠씬 도움이 될 것이다. 감정 사이클' 이란 감정의 고조와 저조가 교체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의 길이를 가리킨다. 이는 신체의 긴장과 이완 주기를 반영하므로 감정의 바이오리듬'이라고도 한다. 감정이 고조 단계에 있을 때는 활기 넘치고 친근하며 다정한 사람, 감정이 풍부한 사람, 열정적으로 일하는 사람, 다른 ..

책을 읽자 2023.08.22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