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꽃,나무이름 알아보기 261

계요등[ 鷄尿藤 ] 꽃

계요등[ 鷄尿藤 ] [요약] 쌍떡잎식물 용담목 꼭두서니과의 낙엽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구렁내덩굴·계각등이라고도 한다. 산기슭 양지바른 곳이나 바닷가 풀밭에서 자란다. 길이 5∼7m이다. 어린 가지에 잔털이 나고 독특한 냄새가 난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거나 달걀처럼 생긴 바소꼴이며 길이 5∼12cm, 나비 1∼7cm이다.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심장 모양이거나 수평이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에 잔털이 있거나 없으며 잎자루는 길이 1∼6cm이다. 꽃은 7∼9월에 피는데, 흰색 바탕에 자줏빛 점이 있으며 안쪽은 자줏빛이고 지름 4∼6mm, 길이 1∼1.5cm이다.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원추꽃차례 또는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과 화관은 5갈래로 갈라지고 수술은 5개이다. 열매는 공 모양의 핵과..

서양벌노랑이 - 작고 앙증맞은 노랑이

서양벌노랑이 [유투브] https://youtu.be/dOYZzZAbBhY [분포] 한국(남부, 전라북도 고창, 충청남도 서산 바닷가, 목포 삼학도, 제주도), 인도, 이란, 호주, 북미, 일본, 중국 [특징] • 국내에서는 1994년 8월 2일 목포의 삼학도 매립지에서 들벌노랑이와 혼생되어 넓은 지역에 분포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그후 전북 고창, 충남 서산 등지의 바닷가에서도 발견하였다. • 자생종인 벌노랑이(L. corniculatus var. japonicus Regel)에 비하여 꽃받침 열편은 판통과 길이가 같거나 짧고, 우상모양꽃차례에 3-7개의 접형화(蝶形花)가 밀집되어 구별이 된다. [잎] 잎은 3소엽으로 되며 소엽은 달걀모양 또는 거꿀달걀모양으로 길이 0.7-1.3cm, 폭 3-8mm이다...

맥문동(麥門冬)

맥문동(麥門冬) 맥문동(麥門冬)은 비짜루목 비짜루과(백합과-아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한국·타이완·일본 등에 분포하며 산지의 나무 그늘에서 자란다. 불사초라고도 한다. 높이는 30~50센티미터 정도로서 뿌리줄기가 짧고 굵으며, 수염뿌리는 가늘고 긴데 어떤 것은 굵어져서 덩이뿌리가 된다. 잎은 짙은 녹색으로 뿌리줄기에서 뭉쳐나고 길이 30~50센티미터의 선형으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잎집을 형성하고 11-15맥이 있다. 꽃은 5-6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는데 마디마다 3-5개씩 모여 달려 길이 8~12센티미터의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맥문동의 덩이뿌리를 말리면 반투명한 담황색이 되는데, 기침과 가래를 멎게하거나 폐장의 기능을 돕고 기력을 돋우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는 이것을 강장·거담..

큰나무수국

큰나무수국 큰나무수국과 나무수국 구별법 큰나무수국 : 범의 귀과 목본류, 나무수국 개량종, 꽃은 흰색, 가짜꽃만 핍니다, 암술과 수술이 정상적이지 않아 열매를 맺지 못하고 꿀이나 향기가 별로 없어 벌, 나비가 찾아들지 않음 나무수국 : 범의 귀과 목본류, 꽃은 흰색, 작은 진짜꽃 주변에 큰 가짜꽃이 함께핍니다. 잎은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슴, 꽃이 작아 벌과 나비들이 꽃을 찾기 쉽지 않아 큰 꽃으로 벌과 나비를 유혹합니다. 큰나무수국 , Hydrangea paniculata for. grandiflora Ohwi , 범의귀과 , 다년생 , Perennial Plant 큰나무수국 특징 큰나무수국 잎 잎은 마주나기하나 때로 3돌려나기하며 타원형, 달걀모양이고 급첨두, 원저로 길이 5-1..

옥잠화(옥비녀꽃, 백학석, 비녀옥잠화 라고도 함)

옥잠화(옥비녀꽃, 백학석, 비녀옥잠화 라고도 함) 꽃말은 ‘추억’ ‘조용한 사랑’ 향은 강하나 꽃 모양이나 밤에 피는 이유로 꿀벌이 거의 찾지 않는다. 옥잠화와 비비추 비교 옥잠화 : 백합과 다년생 초본식물, 꽃은 흰색으로 8~9월에 피며 총상으로 달린다. 잎은 자루가 길고 달걀모양의 원형, 6개의 꽃잎 밑부분은 서로 붙어 통모양 비비추 : 백합과 여러해살이풀, 꽃은 연한 자주빛으로 7월~8월 개화,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꽃 밖으로 나와 한쪽으로 치우친다 잎은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8~9맥이 있다. 옥잠화의 아름다움을 칭송한 신숙주의 시 야릇한 향기가 풀 장막을 뚫으니 (天 香 花 苒 透 羅 惟) 얼음 혼 눈 넋에 흰 이슬 적셨나(雪 魄 氷 魄 白 露 濕) 옥잠의 참 멋을 아시고자 하오면(欲 ..

원추리 꽃 [ 원추리와 참나리 비교]

원추리 [원추리 꽃] 갈색 점무늬가 없슴. 잎사귀도 난초에 가까울 정도로 길쭉길쭉 원추리싹은 나물로도 애용 [참나리] 주황색 꽃잎에 갈색 점무늬, 가까이서 보면 점무늬가 돌기처럼 솟아있슴. 참나리는 나물로 먹으면 안됨 원추리 꽃의 특징 긴 꽃통이 있고, 백합과 비슷한 꽃이 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선형이고 두 줄로 어긋나며 뒷부분은 활처럼 뒤로 휘어진다. 영어명(daylily)과 속명(Hemerocallis)은 모두 꽃이 하루만 피고 시들어버린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동아시아의 온대지역에 10종 정도가 분포하고, 한국에는 7종 1 변종이 분포한다. 야생종 한국의 전국 산지와 초원에서 자라는 노랑원추리는 꽃이 황록색이고, 낮 4시 무렵부터 피기 시작하여 다음날 낮 11시 무렵에는 시든다. 전국 산지..

여름에 피는 꽃- 벌개미취 속명은 "조선자원"

여름에 피는 꽃- 벌개미취 속명은 "조선자원" 벌개미취(Aster koraiensis)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고려쑥부쟁이라고도 한다. 제주도에서 강원도 이남까지 분포하며, 햇볕이 잘 들고, 물기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 키는 50~60cm이고, 잎은 앞으로 길게 뻗어 나며 끝이 뾰족하다. 잎은 길이 12~19cm, 폭 1.5~3cm 가량이며 잎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고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잎이 작아진다. 꽃은 6월에서 10월까지 피며, 상층부의 꽃은 연한 자주색과 연한 보라색이며 줄기나 가지의 끝에 한 개씩 달린다. 열매는 11월에 시든 꽃잎을 붙인 채 결실하며 길이는 4mm, 너비가 1.3mm 정도로 타원형이고 털이 없다. 관리 및 번식법 관리법 : 화단의 양지나 반그늘 어디에서나 잘 자라고,..

꼬리조팝나무

꼬리조팝나무 학명은 Spiraea salicifolia 다른 이름으로 진주화, 수선국이라고도 불린다. 꼬리조팝나무(Spiraea salicifolia)의 이름은 꽃이 피어 있는 생김새가 짐승의 꼬리를 닮고 좁쌀로 지은 밥과 비슷한 데서 유래됐다. 산지, 강가, 산골짜기 개울가, 숲 가장자리 등에서 자란다. 조팝나무 종의 꽃 대부분이 흰색인데 반해 꼬리조팝나무의 꽃은 연분홍색이다. 꽃말은 은밀한 사랑이다. 동영상 https://youtube.com/shorts/Q2Hg9_bOQ1I?feature=share 정보 출처https://www.picturethisai.com/ko/wiki/Spiraea_salicifolia.html

검은눈천인국(루드베키아) cone flower ( Rudbeckia hirta var. pulcherrima )

검은눈천인국(루드베키아) 금계국처럼 생겼고 코스모스를 닮아서 헤갈리는 중, 계속 보다보면 알게 되겠죠~! 검은눈천인국(루드베키아) cone flower ( Rudbeckia hirta var. pulcherrima )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30여 종이 있다. 대부분이 여러해살이풀이지만 한해살이풀과 두해살이풀도 있다. 잎은 어긋나고 홑잎 또는 겹잎이다. 꽃은 여름에 노란 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두상화(頭狀花:꽃대 끝에 꽃자루가 없는 많은 작은 꽃이 모여 피어 머리 모양을 이룬 꽃)를 이루며 달린다. 설상화는 노란 색이고 때때로 밑 부분이 갈색을 띠며 뒤로 젖혀지는 것도 있다. 관모(冠毛)에 긴 털과 톱니가 있는데, 없는 것도 있다. 흔히 재배하는 종은 다음과 같다. ① 원추천인국(Rudbeckia bi..

야생화, 부처꽃

부처꽃 [부처꽃 생태] 부처꽃은 부처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학자에 따라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의 아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부처꽃은 산과 들. 습지에서 자라는 부처꽃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꽃은 7~8월 보라색으로 피며, 습지에서 자라지만 건조에도 강하며 꽃이 오래갑니다. 방광염, 이뇨, 지사제로 씁니다. 관상용이고, 한방에서는 말린 것을 천굴채라 하여 설사를 막는 약으로 지사제(止瀉劑)로 쓴다. [재배 및 관리] 습하고 빛이 잘 드는 곳에 심는다. 생명력이 강해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란다. 한번 자리를 잡으면 포기가 계속 불어나 좁은 정원에서는 문제가 될 수도 있다. 가을에 받은 씨를 바로 뿌리면 이듬해 봄에 싹이 트고, 어느 정도 자란 모종을 옮겨심으면 그해에 꽃을 볼 수..

728x90
반응형
LIST